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조치로 인해 세계 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글로벌 무역 질서가 흔들리는 가운데, 각국은 나름의 방식으로 대응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모습입니다.
일부 국가는 협상단을 미국에 보내 관세 인하를 위한 방안을 찾으려 하고 있지만, 반면에 미국에 강력한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맞대응에 나선 나라들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의 움직임은 더욱 바빠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협상 의사를 밝히면서도, 미국이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다는 강경한 입장도 함께 내비쳤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하며 상호 무관세를 제안했지만, "우리도 우리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대응 조치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협상이 결렬될 경우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암시한 발언입니다.
또한 EU 27개국은 이날 열린 무역장관 회의에서도 협상이 우선이라는 데 공감하면서도, 동시에 EU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미리 준비해 두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에 대해 "국제 규칙보다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는 것은 경제적 괴롭힘"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미국산 제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강력한 대응으로 맞불을 놓겠다는 입장입니다.
아시아 각국도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25분간 전화 통화를 하며 관세 문제에 대해 협의했으며, 후속 협상을 위한 대표팀을 미국에 파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국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부터 9일까지 미국을 방문하여 대미 협상을 시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관세 문제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국가 이익을 최대한 지키겠다는 입장입니다.
베트남은 미국에 대한 관세를 0으로 낮추겠다는 유화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피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파키스탄 역시 이달 중 미국에 대표단을 파견하여 관세 협상 방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차원에서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밀과 면화, 석유, 가스 등의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필리핀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겠다고 밝혔고, 캄보디아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19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약속했습니다.
뉴욕타임즈(NYT)는 남아프리카의 작은 국가인 레소토조차도 캘빈클라인 청바지 등을 포함한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 문제에 항의하기 위해 대표단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이번 조치가 미국과 직접적인 무역이 많지 않은 나라들까지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회담을 요청한 나라들과 즉각 협상이 시작될 것"이라며 협의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무역적자가 해소되지 않는 한 관세 유예나 철회는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복 조치를 취한 중국에 대해서는 추가로 50%의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는 강한 압박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일부 국가가 대미 관세를 낮추겠다고 제안한 것과 관련하여, 단순한 관세 인하는 의미 없는 조치라고 평가 절하했습니다. 관세만이 문제가 아니라, 부가가치세나 정부 보조금 같은 비관세 장벽이 함께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CNBC에 출연해 "중요한 것은 비관세 사기(Cheating)"라고 말하며, 단순히 제로 관세라는 것에 오도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관세 문제를 넘어서, 전 세계 무역 질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앞으로 미국과 각국 간의 협상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또 세계 경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인하 시사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2) | 2025.04.23 |
---|---|
미국-중국 ‘관세 전쟁’ 격화… 미국, 관세 145%로 인상 (4) | 2025.04.11 |
무인도에도 관세가? 트럼프 행정부의 허드 맥도널드 제도 관세 발표 (0) | 2025.04.06 |
관세폭탄에 스위치2 美서 100만원 (1) | 2025.04.03 |
트럼프 대통령, 보편관세 및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발표 (1)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