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시험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오레시니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미사일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의 전략적 시설을 위협할 수 있는 무기체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오레시니크'(Oreshnik, 개암나무)는 러시아가 개발한 신형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로, 다탄두 각개목표 재돌입 비행체(MIRV)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하나의 미사일에 장착된 다수의 탄두가 서로 다른 목표를 향해 개별적으로 재진입할 수 있어, 공군기지나 지휘통제시설 등 밀집된 목표를 공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푸틴 대통령은 '오레시니크'가 초속 2.5~3km(마하 10)의 속도로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으며, 현존하는 방공 시스템으로는 요격이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는 2024년 11월 21일, 우크라이나가 서방의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자 이에 대응해 '오레시니크'를 사용했습니다. 당시 우크라이나 드니프로 지역에 '오레시니크'가 떨어지는 장면이 포착되었으며, 이는 해당 미사일의 실전 시험 발사가 이루어진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분석을 통해 '오레시니크'에 최대 36발의 소형 탄두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핵탄두 탑재도 가능하지만 재래식 탄두만으로도 충분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나토 회원국들은 국방 예산 삭감으로 인해 항공 전력이 일부 공군기지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오레시니크'가 발사될 경우, 나토의 주요 전략 시설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기존의 방공 시스템이 '오레시니크'를 효과적으로 요격하기 어렵다는 점이 큰 위협 요소로 작용합니다. 미국의 패트리엇 방공망은 반응 속도가 느려 '오레시니크'의 빠른 공격을 방어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 언론인 러시아투데이는 '오레시니크'가 나토 주요 도시에 도달하는 시간을 분석했습니다.
- 폴란드 바르샤바: 12분
- 독일 베를린: 15분
- 영국 런던: 20분
- 프랑스 파리: 20분
이러한 속도를 고려할 때, 유사시 러시아가 신속한 미사일 공격을 감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방어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최근 우크라이나군이 기습 공격으로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주(州) 전선을 차지했지만, 현재 러시아군의 드론에 쫓기며 힘겹게 퇴각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군이 '죽음의 도로'에서 사냥당하고 있다"며 러시아군의 끈질긴 드론 공격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병사들이 공포 속에서 쿠르스크를 떠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영국 BBC는 17일 쿠르스크 전선에서 전투 중인 우크라이나 병사 5명과 인터뷰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인터뷰에 따르면, 병사들은 사기가 크게 저하된 상태이며, 드론 공격으로 인해 보급로가 차단되어 무기와 탄약, 식량, 물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한 병사는 "쿠르스크에서의 모든 것이 끝났다. 작전은 성공적이지 못했다"며 "지난해 8월 기습 점령 이후 수천 명의 병사가 이곳에서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지난해 8월 쿠르스크에서 1300㎢를 점령했지만, 현재 점령 지역은 78㎢로 급격히 축소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평화 협상 가능성을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푸틴과 평화 협정을 위한 여러 합의가 이루어졌다"면서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의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오레시니크'는 나토와 서방 세계에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선에서는 러시아군의 드론 공격으로 인해 우크라이나군이 고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 전선에서 철수 중이며, 전쟁의 흐름이 러시아에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빠른 시일에 휴전협정이 완료되고, 전쟁이 그쳤으면 좋겠네요.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4월 2일부터 국가별 상호관세율 발표 예정 (4) | 2025.03.19 |
---|---|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30일간 에너지•인프라 공격 중단 합의 (0) | 2025.03.19 |
휴전 깨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재개되나? (0) | 2025.03.18 |
존 볼턴 前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트럼프 대통령의 '뉴클리어 파워' 발언에 깊은 우려 표명 (1) | 2025.03.18 |
미국의 동맹 이탈 조짐에 EU, 유럽 재무장 만장일치 합의 (2)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