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 총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투자 발표는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직접 발표하였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참석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 계획과 관련하여 자동차 생산 분야에 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 분야에 61억 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 63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입니다. 특히, 미국 내 철강과 자동차 부품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60억 달러를 집중 투자할 계획이며, 이의 일환으로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신설할 예정입니다. 이 제철소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공장에서 생산될 차량용 철강재를 제조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역량을 연간 20만 대 추가 증설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자동차 생산량은 연간 120만 대 이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오는 26일 HMGMA의 준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며, 현재 이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30만 대 규모입니다.
현대차그룹은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투자를 단행할 계획입니다.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신기술 분야에서 미국 내 기업들과 협력하며, 보스턴 다이내믹스, 슈퍼널, 모셔널 등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 법인의 사업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이번 현대차그룹의 대규모 대미 투자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출범 이후 한국 기업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투자 계획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의 대미 관세율 및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책정하는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현대차그룹의 투자는 이러한 정책에 대한 대응책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루이지애나주에서 생산할 철강은 기존에 외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되었던 품목입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에서 철강을 생산함으로써 관세 부담을 줄이고 가격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발표에서 "현대차가 미국에서 철강과 자동차를 생산하게 됨으로써 관세 부담 없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고 언급하며, "이는 관세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이번 투자는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변화 속에서 현대차의 전략이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은 국무위원장, 연내 러시아 방문 준비 중… 푸틴과 재회할까? (0) | 2025.03.27 |
---|---|
사우디에서 열린 미·러 회담, 흑해 협정 및 영토 문제 논의 (0) | 2025.03.25 |
대만, 중국군의 대만 봉쇄 시나리오 분석 (1) | 2025.03.24 |
호주, 방위 예산 확대… 중국 군사 활동에 적극 대응 (1) | 2025.03.24 |
미국-러시아-우크라이나, 사우디에서 부분휴전 협상 진행 (1) | 2025.03.21 |